관리자 모드로서, 임시글등 모든 글이 표시됩니다.
「방제」란 어떤 의미입니까?
home「방제」란 어떤 의미입니까?

/var/www/html/wp-content/themes/koreacpa/single.php

「방제」란 어떤 의미입니까?

국어사전에 의하면 방제란, 『(농작물의 해충 따위를)미리 막거나 없앰』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농업관계에 한정된 용어는 아니지만, 현재는 전적으로 「병해충방제」나 「잡초방제」등과 같이 쓰이며, 그 밖의 의미로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는 말입니다.

비슷한 말로「구제」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구제는 「파리나 모기, 바퀴벌레의 구제」와 같이, 철저하게 살멸하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그에 비해, 「방제」에는 경제적인 시점이 들어있습니다. 농업생산은 경제 행위이므로 방제에 드는 비용과 방제로 얻는 이익, 예를 들면 수확량이나 품질의 유지 또는 상승에 따른 수입이 균형을 이루지 않는다면 방제를 할 의미가 없습니다. 이 때문에 현재는, 얼마만큼의 병해충이 발생하면 대책을 시작할 것인가 하는, 병해충에 의한 피해 정도의 허용범위(요 방제수준)를 지역별로 설정하고, 또한 농가에 보다 가까운 수준으로 정해 세심하게 병해충 발생을 예측하여 적절한 방제를 시행한다는 생각이, 기본이 되어 있습니다.

예전에는 한국인의 근면성이나 결벽성 때문인지 밭이나 논에 잡초가 하나라도 있으면 부끄럽다면서 깨끗이 다 뽑아버리거나, 해충이 발생하면 철저하게 살멸하려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또한 실제 문제로서 병해충, 잡초의 발생이 작물에게 어느 정도의 피해를 초래할까를 명확하게 아는 것이, 현재 이상으로 어려웠다는 점도 있고 시기를 놓칠 것을 걱정해서 병해충이나 잡초를 철저하게 제거하려는 면도 있었습니다.

현재, 한국농업을 둘러싸고 있는 어려운 환경속에서 농업생산 현장에서의 비용절감의식이 높아졌습니다. 따라서 농약도 보다 효과가 뛰어나고, 사용방법이 간편하며, 안전성이 높고, 가격도 적당한 약제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사용에 있어서도 병해충의 발생을 꼼꼼히 예측하고,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양을 사용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var/www/html/wp-content/themes/koreacpa/sidebar.php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길 76(대양빌딩 5층)5F, Dae Yang B/D 76, Gangnam-daero 34-gil,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Copyright(c)2013 KCPA. All rights reserved.
(02)3474-1590~4(02)3472-4134
한국환경공단 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