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에 발생하는 잎도열병, 벼물바구미, 이화명나방과, 고추 역병․탄저병, 사과 겹무늬썩음병․점무늬낙엽병, 단감 둥근무늬낙엽병․탄저병에 대한 병해충 발생정보를 발표하니 농작물 관리에 힘써 주시기 바랍니다.
병해충 중점관리
○ 잎도열병
– 생육기에 비가 자주오고 여름철 온도가 낮은 해, 특히 냉해가 오면 심하게 발생하며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면 발생이 심해지므로 과용을 피하고, 잎이 짙고 아래로 처지는 논은 침투성 적용약제를 뿌려줌
○ 벼물바구미
– 모내기 당일 적용약제로 상자에 처리하거나, 모내기 때 방제하지 못한 농가에서는 모낸 후 2주경에 적용약제를 뿌려줌
○ 사과 겹무늬썩음병․점무늬낙엽병
– 겹무늬썩음병은 6월~9월까지 봉지를 씌워 병원균의 침입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10일 간격으로 2회 정도 예방위주의 적용약제를 뿌려줌
– 점무늬낙엽병이 발생한 가지는 전정하여 제거하는 것이 좋으며, 장마철까지 예방위주의 적용약제를 뿌려줌
○ 단감 둥근무늬낙엽병․탄저병
– 낙엽속의 병균이 비가 오면 감나무 잎 숨구멍에 침입하여 잠복해 있다가 늦은 여름부터 발생하므로, 감꽃이 떨어진 후 10일 간격 2~3회 방제하되 특히 비온 후에는 잎 뒷면까지 충분히 묻도록 적용약제를 뿌려줌
– 이 정보는 www.knrda.go.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 의문사항은 경상남도농업기술원(☎ 055-771-6355)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 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는 2009년 6월 26일(금) 발표 예정입니다.
식 량 작 물
잎도열병(예 보)
○ 일찍 모낸 논에서는 새끼치기 거름효과가 나타나는 시기임
○ 거름끼가 많은 논에서 비가 자주 오면 발생하기 쉬움
○ 잎이 짙고 아래로 처지는 논에서는 침투이행성 약제로 예방
○ 병무늬가 나타나는 논은 비가 개인 틈을 이용 적용약제를 뿌려줌
병무늬 확산
– 적용약제
․수화제 : 올타, 라브사이드, 다코스, 동부베노밀, 베노밀골드, 아미스타, 영일아족시스트로빈 등
․입 제 : 다수왕, 두베로, 오리단, 농자왕, 후지왕, 카메나, 투캅스, 알알이, 무사미, 뉴명콤비 등
벼물바구미(예 보)
○ 5월부터 성충이 모낸 논에 벼 잎을 가해하고 6월 하순부터 유충이 벼 뿌리를 잘라서 벼의 자람과 새끼치기를 억제함
○ 육묘상자에 모내기 당일 입제 농약을 처리하거나, 모내기 당일 방제를 하지 못한 농가에서는 모낸 후 2주경에 적용 약제를 뿌려줌
– 적용약제
․상자처리입제 : 듀엣, 다카바, 상자탄, 자스, 해오름, 리베로, 카메나, 칼립소, 리전트, 뉴명콤비, 신드롬, 풀코스, 온콜, 후라단, 큐라텔 등
․모낸 후 2주경 : 큐라텔, 트레본, 두레, 마샬, 쌀지기, 박멸탄, 대쉬, 영의정 등
벼물바구미 성충
벼물바구미 식흔
벼물바구미 피해논
이화명나방(예 보)
○ 연 2회 발생하며 월동한 성충은 6월 상순이 최성기임
○ 1화기와 2화기로 나누어 방제를 실시하는데 1화기 방제적기는 발아 최성일후 11~17일 사이로 6월 중순경에 해당함
○ 발생이 우려되는 논에서는 벼물바구미와 동시방제가 가능한 적용약제를 뿌려줌
– 동시적용약제 : 큐라텔, 박멸탄, 마샬, 쌀지기, 대쉬, 청실홍실 등
이화명나방 알
어린벌레 피해
이화명나방 성충
원 예 작 물
고추 역병․탄저병(예 보)
○ 역병은 토양전염성병으로 물 빠짐이 나쁜 밭에 빗물에 의해 전염됨
○ 배수구 정비를 하고 역병에 걸려 시드는 포기는 뽑아 없앤 후 적용약제를 뿌려줌
○ 탄저병은 연작하거나 밀식하여 통풍이 잘 되지 않을 경우 병에 잘 걸림
○ 장마가 오기 전 적용약제를 잎 뒷면까지 충분히 묻도록 뿌려주고, 방제시기를 놓쳤을 때는 비가 그치는 대로 바로 적용약제를 뿌려줌
– 동시적용약제 : 포룸만, 균자비, 포리오골드, 세이브, 오티바, 오비바옵티, 앙콜, 크린힛, 캐스팅, 카브리오팀, 후론사이드, 모두랑 등
고추 역병 피해
고추 탄저병 피해
사과 겹무늬썩음병(예 보)
○ 비가 자주오고 일조량이 부족하여 세력이 약해진 과원에 발생
○ 6월경 과실에 침입하여 잠복해 있다가 8월에 발생
○ 10일 간격으로 2회 정도 적용약제를 가지 및 과실에 충분히 뿌려줌
○ 봉지를 씌워 병원균의 침입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제
– 적용약제 : 새미나, 비엑스알, 경농디치, 델란, 정밀디치, 창가탄, 델란, 푸르겐, 보가드, 마가내, 단단, 우라만, 신기원, 바이코 등
피해 사과나무 가지
피해 과실
사과 점무늬낙엽병(예 보)
○ 5월 하순부터 발병하고 6월에 증가하기 시작하며, 고온 다습한 시기인 7월 하순~ 8월 중순에 많이 발생
○ 병든 잎에서 월동하여 전염원이 되므로 낙엽을 모아서 소각함
○ 병든 가지에서 월동한 병원균은 방제하기 어려우므로 병든 가지는 제거함
○ 꽃이 떨어진 후 10일부터 장마철까지 예방위주로 적용약제를 뿌려줌
– 적용약제 : 델란, 푸르겐, 보가드, 살림꾼, 바이코에이, 유닉스, 젤존, 스트로비, 해비치, 돌풍, 실바코, 프리트, 에이플, 포그탄, 참조네 등
피해 잎
피해 과실
단감 둥근무늬낙엽병․탄저병(예보)
○ 둥근무늬낙엽병은 비가 오면 잎의 숨구멍을 통하여 침입하여 잠복하였다가 8월 하순경 서늘한 날씨에 발병하여 잎이 떨어지고 과실은 품질이 낮아짐
○ 탄저병은 어린 가지와 과실에 병균이 침입하여 과실 성숙기에 피해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 감꽃이 떨어진 후 10일 간격 2~3회 방제하되 특히 비온 후에는 잎 뒷면까지 충분히 묻도록 적용약제를 뿌려줌
– 동시적용약제 : 카브리오에이, 차세대, 푸르겐, 보가드, 아미스타탑, 실바코, 모두존, 프린트, 에이플 등
둥근무늬낙엽병
탄저병
진주기상대
○ 6월 중순 : 구름끼는 날이 많겠고 기온은 평년(평균기온 16~23℃)과 비슷하겠으며강수량은 평년(26~76mm)보다 많겠음
○ 6월 하순 : 구름끼는 날이 많겠고 기온은 평년(평균기온 17~23℃)과 비슷하겠으며 강수량도 평년(48~138mm)과 비슷하겠음
○ 7월 상순 : 구름끼는 날이 많겠고 기온은 평년(평균기온 18~25℃)보다 높겠으며 강수량은 평년(49~142mm)보다 적겠음
※ 농약을 뿌리기 전에는 포장지의 농약사용요령을 읽어서 안전사용기준을 지켜주시고
살포 후에는 비눗물로 몸을 깨끗이 씻어서 건강관리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